본문 바로가기

사료성분등록4

사료의 형태 사료성분등록시 사료성분등록 신청서에 사료의 형태를 기재하도록 되어있는데요, 사료의 형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료의 형태 (1) 가루: 곱게 가루로 만든 것 (2) 펠릿: 가루사료를 일종의 주형틀에서 압착하거나 밀어내어 성형시킨 것 (3) 크럼블: 펠릿으로 성형한 사료를 특정목적에 맞게 분쇄ㆍ선별한 것 (4) 후레이크: 사료를 그대로 또는 증기로 쪄서 납작하게 압편(壓片)한 것 (5) 익스투루젼(팽화): 압력 및 온도를 가하여 전분을 호화(糊化)한 후 부피를 팽창시킨 것 (6) 액상: 용액으로 된 것 (7) 그 밖의 형태: 형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아니한 것은 그 형태에 적합하도록 표시 (개껌, 겔, 과립, 도넛, 바, 박편, 베일, 생물, 스틱, 시럽, 액상고형, 육포, 젤리, 종실, 칩, 캡슐.. 2019. 4. 21.
사료 수입신고 필요서류 안녕하세요! 사료를 수입하려는 경우 해당 사료의 통관 전까지 사료수입신고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사료협회에 제출하여야 하는데요. 사료 수입신고를 위한 필요서류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료성분등록증 사본(전자문서 교환방식으로 수입신고를 하거나 제12조제2항에 따른 사료를 수입신고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 지난 번 포스팅에서 설명한 것처럼 사료 수입신고를 위해서는 사료 성분등록을 먼저 하여야 합니다! 2. 사료검정증명서[법 제20조제2항에 따른 사료검정인정기관(이하 "사료검정인정기관"이라 한다) 또는 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사료검정기관(이하 "사료검정기관"이라 한다)에서 발행한 증명서만 해당한다] 3. 한글로 표시된 포장지(한글로 표시된 스티커를 붙인 포장지를 포함하며, .. 2019. 4. 2.
사료 수입을 위한 사료성분등록 안녕하세요! 강아지사료, 고양이사료 등 사료 수입을 위해서는 사료성분등록을 먼저 해야하는데요. 사료성분등록 절차와 신청서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료관리법에 따라 사료를 수입하려는 경우 수입하려는 사료의 종류ㆍ성분 및 성분량,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등록하여 합니다. 사료성분등록은 관련 서류를 구비하여 사업장 관할지 시ㆍ도청에 등록신청을 하면 됩니다. 사료성분등록 신청서는 제조업자용과 수입업자용이 있으니 수입업자용으로 작성하면 되겠죠? 사료성분등록 신청서 상의 수입업등록번호 항목을 제외하고 모두 기재하여야 합니다. 사료의 종류, 사료의 형태, 사료의 명칭, 사료의 용도, 사료의 성분명 및 성분량 항목은 사료관리법에 따라 정확하게 기재하여야 합니다. 사료의 종류로는 크게 단미사료, 보조사료.. 2019. 4. 2.
애완동물 사료 수입 요건 및 절차 개요 안녕하세요! 요즘 강아지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 키우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만큼 애완동물 사료와 간식 종류도 아주 다양합니다. 이러한 애완동물 사료를 수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애완동물 사료는 수입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사전에 잘 준비해서 수입을 하여야 합니다! 이런 수입요건 준비없이 무작정 사료를 수입했다가는 통관이 안돼서 폐기 또는 반송하게 된답니다. 그럼 애완동물 사료 수입 요건 및 절차에 대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료 수입요건으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 사료를 수입하기 위해서는 1.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수입신고와 2.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검역을 받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수입통관 후 국내로 반입할 수 있습니다.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수입신고를 위해서는 먼저 사료성분등록을 해야.. 2019.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