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품별 수입요건38

사료 수입신고 필요서류 안녕하세요! 사료를 수입하려는 경우 해당 사료의 통관 전까지 사료수입신고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사료협회에 제출하여야 하는데요. 사료 수입신고를 위한 필요서류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료성분등록증 사본(전자문서 교환방식으로 수입신고를 하거나 제12조제2항에 따른 사료를 수입신고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 지난 번 포스팅에서 설명한 것처럼 사료 수입신고를 위해서는 사료 성분등록을 먼저 하여야 합니다! 2. 사료검정증명서[법 제20조제2항에 따른 사료검정인정기관(이하 "사료검정인정기관"이라 한다) 또는 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사료검정기관(이하 "사료검정기관"이라 한다)에서 발행한 증명서만 해당한다] 3. 한글로 표시된 포장지(한글로 표시된 스티커를 붙인 포장지를 포함하며, .. 2019. 4. 2.
애견사료 검역 안녕하세요! 애견사료의 대부분이 검역대상에 해당되는데요, 애견사료 검역에 대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애견사료는 왜 검역 신청 대상인가요? 일반적인 애견사료 및 간식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에서 정하는 동물의 생산물 등을 원료로 하는 사료로, 이는 지정검역물에 해당되어 검역 신청 대상에 포함됩니다. 지정검역물 대상이 되는 애견사료는 구제역, AI 및 BSE 등 가축전염벙의 국내유입 방지를 위해 반드시 검역을 받으셔야 합니다. 2. 애견사료 내 주요 검역 대상 성분 동물성 성분이 포함된 애완동물 사료는 모두 검역 대상입니다. - 반추동물의 뼈, 뿔 - 육류(MEAT), 우유성분(MILK, WHEY, LACTOSE) - 육골분, 육분, 발굽분, 건조혈장, 각분, 기타 혈액제품 - 가금설육분(POULTRY .. 2019. 4. 2.
사료 수입을 위한 사료성분등록 안녕하세요! 강아지사료, 고양이사료 등 사료 수입을 위해서는 사료성분등록을 먼저 해야하는데요. 사료성분등록 절차와 신청서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료관리법에 따라 사료를 수입하려는 경우 수입하려는 사료의 종류ㆍ성분 및 성분량,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등록하여 합니다. 사료성분등록은 관련 서류를 구비하여 사업장 관할지 시ㆍ도청에 등록신청을 하면 됩니다. 사료성분등록 신청서는 제조업자용과 수입업자용이 있으니 수입업자용으로 작성하면 되겠죠? 사료성분등록 신청서 상의 수입업등록번호 항목을 제외하고 모두 기재하여야 합니다. 사료의 종류, 사료의 형태, 사료의 명칭, 사료의 용도, 사료의 성분명 및 성분량 항목은 사료관리법에 따라 정확하게 기재하여야 합니다. 사료의 종류로는 크게 단미사료, 보조사료.. 2019. 4. 2.
수입식품 수입판매업 영업등록증, 식품위생교육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수입식품, 식품용기 등을 수입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이 무엇일까요? 식품등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식약처에 수입식품등 수입 판매업 영업 등록을 하고 수입식품등 수입판매업 영업등록증을 받아야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입식품 수입판매업 영업등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입식품 수입판매업 영업등록증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시설기준 충족과 식품위생교육 이수입니다. 먼저, 수입식품 수입판매업 영업등록의 시설기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1. 독립된 영업소를 갖추어야 합니다. 2. 건축물 대장의 용도가 적합해야 합니다. (건축법 저촉여부) - (가능) 1,2종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사무소, 판매시설, 업무용오피스텔 등 - (불가) 사무실로.. 2019. 4. 2.
애완동물 사료 수입 요건 및 절차 개요 안녕하세요! 요즘 강아지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 키우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만큼 애완동물 사료와 간식 종류도 아주 다양합니다. 이러한 애완동물 사료를 수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애완동물 사료는 수입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사전에 잘 준비해서 수입을 하여야 합니다! 이런 수입요건 준비없이 무작정 사료를 수입했다가는 통관이 안돼서 폐기 또는 반송하게 된답니다. 그럼 애완동물 사료 수입 요건 및 절차에 대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료 수입요건으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 사료를 수입하기 위해서는 1.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수입신고와 2.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검역을 받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수입통관 후 국내로 반입할 수 있습니다.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수입신고를 위해서는 먼저 사료성분등록을 해야.. 2019. 4. 1.
가구 수입 절차 및 방법 가구 수입 대한 절차 및 방법 외국에서 가구를 수입 및 판매하려면 가구 종류 및 사용연령대에 따라 안전확인 또는 공급자적합성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 안전확인대상 및 공급자적합성대상 가구 1. 안전확인대상 가구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1) 어린이용 이단침대만 3세 이상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사용하는 가정용 2단 침대 또는 침대 자리 밑의 공간 이용에 상관없이 바닥면 위로부터 침대 바닥판 높이가 800 mm 이상으로 사용하는 1인용 침대(제품포장에 “성인을 위한 것” 또는 “어린이용이 아님”이 표시된 2단침대는 제외함) 2) 유아용 의자일반적으로 6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유아가 식사를 주된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로서 유아를 식탁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지탱할 수 있도록 설계된 높은 의자, 부.. 2018. 11. 8.